분말소화기
분말소화기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보급되어 있는 소화기로 일반화재 (A급 화재), 유류화재 (B급 화재), 전기화재(C급 화재) 모두에 효과가 있는 ABC급 소화기와 유류화재 및 전기화재에 주로 사용할 목적으로 생산된 BC급 소화기로 구분한다.
이 소화기는 건조된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분말 상태가 장기간 유지도록 방습제 등을 첨가하여 용기 본체에 충전하고 분말 약제를 방사할 수 있도록 압축가스를 봉입한다. 이 압축가스의 봉입방법에 따라 용기 본체에 직접 봉입하는 축압식과 별도의 용기에 충전하여 소화기 본체에 부착하는 가압식이 있다. 이 소화기는 안전핀을 제거하고 손잡이를 누르면 봉판이 파괴되고 이 때 압축가스에 의해 약제를 방사하게 된다.
이산화탄소 (CO2)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고압가스 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고압가스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으나 소화 약제에 의한 오손이 적고 전기 절연성도 크기 때문에 전기화재에 많이 사용된다.
할론소화기
소화 효과는 이산화탄소 소화기와 유사하다.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인체에 질식의 우려가 있는 반면 할론소화약제는 소화 효과가 크며 약제의 종류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인체에는 큰 피해를 주지 않는다. 다만 밀폐된 곳에서 장시간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소화기의 구조는 이산화탄소 소화기와 비슷하며 유류 화재와 전기 화재에 많이 사용된다.